2화. 조선에도 관세가 있었을까? 통행세와 세곡 이야기
📦 2화. 조선에도 관세가 있었을까? 통행세와 세곡 이야기
조선 후기 무역 통제 속 ‘사실상의 관세’ 개념 정리
📌 핵심 요약
✅ 조선은 명확한 ‘관세’ 제도는 없었지만, 통행세·포구세·세곡 등을 통해 무역 흐름을 통제했습니다.
✅ 세금이 아닌 국가 통제 수단으로 작동한 통행세는 현대 관세의 전신처럼 기능했습니다.
✅ 대외 무역을 제한하던 조선의 정책은 결국 근대적 관세 체계 도입을 늦추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조선 시대, 관세는 없었다고?
우리가 관세라고 하면 보통 수입품에 붙는 세금을 떠올립니다.
하지만 조선 시대에는 이런 명확한 개념의 관세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그렇다고 외국 물품이나 무역 활동이 세금 없이 자유로웠던 건 절대 아닙니다.
조선은 ‘통행세’나 ‘포구세’, ‘세곡’ 등의 명목으로,
실질적인 무역 통제를 수행했고, 이는 사실상의 관세 기능을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통행세, 조선판 관세의 역할을 하다
상인이 물건을 옮길 때마다, 세금이 붙었다
조선에서는 지방에서 중앙으로 물품이 이동할 때, 또는 관문을 통과할 때
**‘통행세’**라는 명목으로 일정량의 물품이나 곡식을 징수했습니다.
예를 들어, 상인이 쌀 100가마를 실어 나르면
관문에서 5~10가마를 ‘도로 사용료’ 혹은 ‘경비’ 명목으로 거두는 식입니다.
이는 현재 우리가 말하는 관세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죠.
📌 주요 통행세 부과 포인트
- 주요 도로의 역참(驛站)
- 세곡 운송로
- 국경 부근 포구나 세관 겸무지
‘포구세’와 ‘나루터 통행료’도 실질 관세
특히 압록강·두만강·강화도 등 국경 근처의 포구에서는
외국과의 교역이나 도강 시 **‘포구세’**가 붙었습니다.
이는 국방상의 이유도 있었지만, 물자 유입을 조절하고 수익을 확보하는 기능도 있었죠.
나루터, 징검다리, 다리 통과 시 내는 비용 역시
현대적으로 해석하면 물류세 + 관세 + 통제권력의 복합적 성격입니다.
세곡 운송, 조선의 경제동맥이자 통제 수단
세금으로 거둔 쌀, 경창으로 집결되다
조선은 농업 중심 국가였고, 조세 대부분은 ‘세곡(稅穀)’, 즉 곡식으로 징수되었습니다.
이 세곡은 **지역별 조운선(배)**을 통해 서울 경창으로 운반되었죠.
운반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자 이동 통제, 운반료, 검사 과정은
간접적으로 외부 상인의 접근을 제한하는 작용을 했습니다.
민간 무역은 통제, 정부는 독점
조선은 대외무역을 극히 제한하고
공식적인 통로(예: 조공, 사절, 통신사) 외의 상거래는 불법으로 간주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밀무역이 빈번했고, 이를 막기 위해
세곡이나 통행세 시스템을 통해 거래를 억제하거나 선별했습니다.
조선의 무역철학: 자급자족과 폐쇄성
조선은 유교적 이념과 실용주의에 기반해
자급자족을 이상적인 경제체계로 삼았습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물자 유입을 경계했고,
이는 근대적 관세 시스템의 부재와 경제 자립성 약화로 이어졌습니다.
💰 오늘의 재테크 인사이트
📌 보이지 않는 비용, 숨겨진 세금에 주목하자!
조선의 통행세는 공식적인 세금은 아니었지만
상인에게는 수익을 좌우하는 핵심 비용이었습니다.
오늘날에도 우리는 제품을 살 때 부가세, 운송비, 금융 수수료 등
‘보이지 않는 비용’을 무심코 지불하고 있습니다.
✅ 물건의 진짜 가격을 따질 땐, ‘숨은 비용’까지 분석해야 합니다.
✅ 투자를 할 때도, 수수료·세금·환율 리스크를 반드시 고려하세요.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조선 시대에는 왜 명확한 관세 제도가 없었나요?
👉 조선은 자급자족 경제를 추구했기 때문에, 수입품 자체를 제한했고 관세 필요성이 작았습니다.
Q2. 통행세는 누가 부과하고 관리했나요?
👉 지방 관청이나 군현, 역참 기관이 직접 관리하며, 국고로 일부가 귀속되었습니다.
Q3. 통행세와 포구세는 백성에게 부담이었나요?
👉 상인에게는 큰 부담이었고, 물가 상승의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Q4. 세곡 운송과 관세는 무슨 관계가 있나요?
👉 세곡 운송은 국가 주도의 물류 체계였으며, 외부 상인의 진입을 제한하는 효과를 가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