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의 역사/외전: 돈 이야기+

삼국시대에도 화폐가 있었다! – 고구려·백제·신라의 교환 경제 탐구

by 머니 메이트 2025. 7. 24.

🪙 삼국시대에도 화폐가 있었다!

고구려·백제·신라 사람들이 돈 대신 쓴 것들

“지폐도, 동전도 없던 시절... 사람들은 어떻게 사고팔았을까?”

현대 사회에서 ‘돈’은 너무나 당연한 존재입니다. 은행 계좌, 신용카드, 모바일 결제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소비가 이루어지죠. 하지만 시간을 1,500년쯤 거슬러 올라가 보면, 전혀 다른 경제 시스템이 존재했습니다. 바로 삼국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가 한반도를 이끌던 시기에도 사람들은 사고팔고 나누며 살아갔습니다.

그렇다면 ‘화폐가 없던 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거래했을까요? 오늘은 삼국시대의 교환 경제와 그 시대 사람들에게 돈처럼 쓰였던 것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삼국시대에도 화폐가 있었다! – 고구려·백제·신라의 교환 경제 탐구

 


💬 공식 화폐는 없었다, 그러나 ‘경제활동’은 있었다

삼국시대엔 지금처럼 나라에서 만든 지폐나 동전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생존을 위해 끊임없이 ‘거래’를 했습니다. 거래 수단은 바로 쌀, 철, 베, 가축, 소금 등 일상에서 유용한 실물 자산이었습니다.

이런 물건들은 지역마다 다르게 화폐처럼 기능했습니다. 예를 들어 철 한 덩이는 쌀 두 되, 베 한 필은 말 한 마리, 소 한 마리는 땅 한 구획과 맞먹는 가치가 있었죠. 가치는 시장과 공동체의 합의에 따라 결정되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초기 교환 경제의 핵심입니다.


🛡 고구려 – 철이 곧 화폐였다

고구려는 북방 중심의 강력한 군사 국가로, 철 생산이 매우 활발했습니다. 이 철은 무기나 농기구 제작에 필수적인 자원이었지만, 동시에 물건을 바꾸는 거래 수단으로서의 역할도 했습니다.

특히 고구려는 만주, 중국 동북부 지역과 활발히 교역했는데, 이 과정에서 철은 귀중한 수출품이 되었습니다. 마치 오늘날 원유나 금처럼, 고구려의 철은 가치를 측정하고 보존할 수 있는 중요한 ‘돈의 기능’을 수행했던 것이죠.

또한 세금이나 공납을 철로 바치는 일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지며, 철은 단순한 자원을 넘어서 경제와 국가 운영의 핵심 자산이었습니다.


👘 백제 – 베와 도자기가 화폐처럼

백제는 문화와 외교, 무역이 발달한 나라였습니다. 특히 일본과 중국을 잇는 해상무역을 통해 다양한 문물이 오갔고, 이 과정에서 베, 도자기, 약재 같은 품목들이 사실상 화폐처럼 사용되었습니다.

백제의 베는 고급 원단으로 평가받아 외국에서도 인기가 있었고, 도자기나 약재 역시 상류층과 무역상들 사이에서 가치 있는 상품이었습니다. 이러한 상품들이 단순히 교역품을 넘어 경제적 척도 역할을 하며 지역 시장에서 활발히 쓰였습니다.

백제는 특히 귀족 중심의 경제 체제를 갖추고 있었기에, 상품 가치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발달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신라 – 쌀과 가축이 거래의 중심

신라는 농업 중심의 내륙 국가였기 때문에, 실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자산이 바로 쌀과 소였습니다. 특히 소는 **우경(소를 이용한 농사)**의 도입 이후, 단순한 가축을 넘어 생산력 그 자체로 인식되었습니다.

쌀은 곧 사람의 생존과 직결되기 때문에 가장 안정적인 가치 척도로 사용되었고, 소는 고가의 자산으로써 거래가 이루어졌습니다. 이는 신라의 교환 경제가 실용적이고 생존 기반이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또한 신라는 경주를 중심으로 시장 문화가 형성되기 시작하면서, 보다 다양한 교환이 이루어졌고 이는 훗날 화폐 경제로 넘어가는 기초가 되었습니다.


🤔 ‘화폐의 기능’은 이미 존재했다

삼국시대엔 아직 동전도, 지폐도 없었지만, 사람들은 물건의 가치를 비교하고 교환하며 살아갔습니다. 이로 인해 화폐가 갖는 세 가지 핵심 기능—교환의 매개, 가치의 척도, 부의 저장 수단—이 이미 작동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철 한 덩이는 쌀 두 되”처럼 상대적 가치 판단이 가능했고,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시점에 바꿔 쓰는 방식도 존재했죠.

이러한 행위 자체가 곧 ‘화폐 이전의 화폐’, 즉 전(前)화폐 시스템의 형태였습니다. 돈의 본질이 ‘사람 사이의 신뢰’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삼국시대의 경제 문화는 매우 진보된 형태였습니다.


📝 정리 요약

✅ 삼국시대에는 국가 발행 화폐는 없었지만, 실물 자산이 돈처럼 쓰였다
✅ 고구려는 철, 백제는 베와 도자기, 신라는 쌀과 가축 중심의 교환 경제
✅ 물물교환은 단순한 바터거래가 아닌, ‘가치 기준’이 존재한 체계적 경제
✅ ‘화폐의 기능’은 이미 작동하고 있었고, 이후 동전·지폐로 자연스러운 발전이 가능했던 기반이었다


💬 마무리 한 줄

돈이란 결국 사람 간의 신뢰로 시작됩니다.
삼국시대 사람들도 서로의 가치를 인정하고, 믿고 교환하며
‘화폐 이전의 돈’을 만들고 있었던 셈이죠.